클라우드 세상 속으로 라는 책을 읽으며, 중요한 내용은 저 자신도 곱씹어 볼겸 가겹게 포스팅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bovK6/btrrxYgURXk/kFUrVL1BKj4CJKKisIevLK/img.png)
3.1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
1) 전통적인 사내 IT vs 콜로케이션 vs 외주 관리 서비스 vs 클라우드 모델
소규모 전자 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고 가정해보자.
책의 시나리오 에서는 3단계 계층으로 설계되어 프론트-어플리케이션-백엔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을 3년간 운영한다는 가정을 두고 각 케이스별로 계산을 진행하였다.
- 사내 IT의 경우 월 861달러
하지만 여기에는 전력, 냉방, 랙공간, 네트워크 대역폭 등 추가사항은 고려되지 않음
- 콜로케이션 배포는 월 1861달러
이렇게 되면 장비를 수용할 설비가 준비된 사내 IT의 실제 비용이 더 낮음. 하지만 설비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라면 콜로케이션이 더 경제적으로 이득이기도 하다.
- 외주 관리 배포는 월 8017달러
비용면에서 콜로케이션, 사내 IT 와 월 6200 달러 정도의 큰 차이가 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는 인프라 관리에 필요한 인적 자원과 관련된 것 이다. 외주관리 모델에서는 관리를 위한 인적자원이 필요 없거나 줄어들지만 이로인해 발생하는 비용 절감 효과는 우리의 계산 시나리오에 반영되지 않아 큰 가격차이를 보이는 것 이다.
- 클라우드는 월 1435달러
기대한 모든 비용 절감은 대체 어떻게 된 것 일까? 엄청난 비용 절감을 안겨줄 대안이 클라우드 가 아니였다는 말인가?
이는 시나리오 마다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3년 동안 24시간, 일주일 내내 쉬지 않고 돌아가는 작은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모델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 클라우드는 어떤 시나리오 모델이 적합할까?
3.2 클라우드가 적합한 경우
1) 정해진 기간 동안만/짧은 기간만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6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동안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 이라면,
사내IT : 월 5167달러
콜로케이션: 월 6917달러
클라우드: 월 2008달러 로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2) 규모의 변동성
주식 시장처럼 장이 열때와 마감 직전에만 트래픽이 급증하는. 즉 예측가능한 한정된 시간에만 어플리케이션 사용량이 급증하는 경우 유리하다.
3) 비전략적인 어플리케이션/회사에 주는 가치가 낮은 경우
전략이 아닌 전술용 어플리케이션 들은 대부분 내부 사용자들만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클라우드 전환하여 조직내의 부족한 IT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3.3 클라우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1) 레거시 시스템
오래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은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클라우드로 옮기기 보다는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다시 재설계 하는것이 낫다.
2) 실시간/핵심 임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환자의 수술에 사용되는 기능들을 단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에 의존하기에는 위험성이 있다.
3) 기밀 데이터를 다루는 어플리케이션
기밀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삭제를 누르면 보통 실제로 삭제되는것 이 아니라. 그냥 삭제되었다고 표지 될 뿐이다. 정말 삭제하고 싶다면 디스크를 재포멧하거나 물리적으로 파괴해야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인프라에 저장된 데이터는 공유된 디스크 드라이브에 위치한다. 데이터를 완전히 통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DevOp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클라우드 규모에 맞는 디자인과 아키텍처 : 5장 (0) | 2022.01.23 |
---|---|
[Cloud] 보안과 폐쇄형 클라우드 : 4장 (0) | 2022.01.23 |
[Cloud]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 2장 (0) | 2022.01.23 |
[Cloud] 클라우드 분류 : IaaS, PaaS, SaaS, FaaS (0) | 2022.01.23 |
[Cloud] 클라우드 컴퓨팅이랑 무엇인가? : 1장 (0) | 2022.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