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들으며 정리하는 글 입니다.
1. CPU burst와 I/O burst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아 cpu burst 와 I/O burst가 번갈아 가면서 CPU가 사용된다.
이처럼 사용자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과정은 CPU 작업과 I/O 작업의 반복으로 구성된다.
1 - 1) CPU burst
CPU burst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CPU를 가지고 빠른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은 CPU 내에서 일어나는 명령 (ex. Add)이나 메모리(ex. Store, Load)에 접근하는 일반 명령등 을 사용할 수 있다.
1 - 2) I/O burst
I/O burst는 커널에 의해 입출력 작업을 진행하는 비교적 느린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모든 입출력 명령을 특권 명령으로 규정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이 직접 수행할 수 없도록 하고, 대신 운영체제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1 - 3) CPU bound process와 I/O bound process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CPU burst와 I/O burst가 차지하는 비율이 균일하지 않다.
어떤 프로세스는 I/O 버스트가 빈번해 CPU 버스트가 매우 짧은 반면 (사용자 인터렉티브한 작업),
어떤 프로세스는 I/O를 거의 하지 않아 CPU 버스트가 매우 길게 나타난다(예를 들어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
이와 같은 기준에서 프로세스를 크게 I/O bound process와 CPU bound process로 나눌 수 있다.
1 - 3 - 1) I/O 바운드 프로세스
I/O 요청이 빈번해 CPU 버스트가 짧게 나타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주로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을 계속 받아가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대화형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이핑을 계속 치는데 다른작업이 CPU를 길게 사용하게 된다면 화면에 타이핑한 글자들이 장시간 보이지 않을수도 있다.
1 - 3 - 2) CPU 바운드 프로세스
I/O 작업을 거의 수행하지 않아 CPU 버스트가 길게 나타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주로 프로세스 수행의 상당 시간을 입출력 작업 없이 CPU 작업에 소모하는 과학 계산 위주의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위 그레프에서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구조를 보면 I/O bound process는 짧은 CPU burst를 많이 가지고 있는 반면,
CPU bound process는 소수의 긴 CPU burst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CPU 스케줄링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CPU burst를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경우 짧은 CPU 버스트를 가지며, 극히 일부분만 긴 CPU 버스트를 갖는다.
즉, CPU를 한 번에 오래 사용하기보다는 잠깐 사용하고 I/O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많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 친화적인 대화형 작업을 많이 수행해야 하는데, 사용자에 대한 빠른 응답을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CPU 바운드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한다면 그 프로세스가 CPU를 다 사용할 때까지 수많은 I/O 바운드 프로세스는 기다려야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키보드 예시만 해도, 키보드를 입력하자마자 화면에 출력이 잘 안된다고 생각해보자, 이는 매우 불편할 것 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CPU 여러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이 탄생하였다.
2 - 1) CPU 스케줄링의 2가지 큰 이슈
1) CPU burst에 들어온 여러 프로그램 중 누구에게 먼저 할당할 것 인가?
2) CPU를 줬다면, 해당 프로그램이 CPU를 다 쓰고 I/O를 하러 갈때까지 CPU를 계속 주는가? 아니면, CPU burst가 너무 길기 때문에 중간에 CPU를 뺏어서 다른 Process에게 CPU를 넘겨주느냐?
로 나눌수가 있다.
2 - 2) CPU 스케줄러
CPU 스케줄러는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 어떠한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할 지 결정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이다.
여기서 운영체제의 코드인점을 한번 강조하고 싶다, 스케줄러 라고 특정지어 말하면 마치 일종의 하드웨어 장비이거나, 특정 프로그램일것 같디만, 그냥 운영체제의 코드 일부분에 불과하다.
CPU 스케줄러가 필요한 경우
- Running → Blocked (ex. I/O 요청하는 시스템 콜)
- Blocked → Ready (ex. I/O 완료 후 인터럽트)
- Running → Ready (ex. 할당 시간 만료로 인한 타이머 인터럽트)
- Terminated
1, 4번째의 스케줄링은 강제로 빼앗지 않고 자진 반납하는 nonpreemptive(비선점) 방식이고, 그 외의 스케줄링은 CPU를 강제로 빼앗는 preemptive(선점) 방식이다.
2 - 3) 디스패처 (Dispatcher)
CPU를 누구한테 누구한테 줄 지 결정했으면 해당 프로세스에게 넘겨야 하는데, 디스패처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정이 Context Switch에 해당한다.
2 - 4) 스케줄링의 성능 평가 (Scheduling Criteria)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어떤게 좋은지를 알려면 평가할 기준이 필요하다. 이를 성능 척도 라고 부른다.
특별히 CPU를 위한 성능 척도이기 때문에 이를 Scheduling Criteria 라고 부른다.
2 - 4 - 1) 시스템 입장
- CPU utilization (이용률)
- 전체 시간 중에서 CPU가 일을 한 시간의 비율
- keep the CPU as busy as possible
- Throughput (처리량)
- 주어진 시간동안 준비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 중 몇 개를 끝마쳤는지 나타낸다.
- 즉 CPU의 서비스를 원하는 프로세스 중 몇 개가 원하는 만큼의 CPU를 사용하고 이번 CPU 버스트를 끝내어 준비 큐를 떠났지 측정한 것이다.
- 더 많은 프로세스들이 CPU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CPU 버스트가 짧은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것이 유리하다.
- number of processes that complete their execution per time until
2 - 4 - 2) 프로세스 입장
- Turnaround time (소요 시간)
-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러 와서 기다리다가, 자신이 원하는 만큼 CPU를 다 쓰고 CPU 버스트가 끝날 때까지 걸린 시간을 뜻한다.
- (준비 큐에서 기다린 시간) + (실제로 CPU를 사용한 시간)
- amount of time to execute a particular process
- 오해하면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하나의 CPU burst타임에서를 의미한다.
- 하나의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완전히 종료되기 까지의 시간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 Waiting time (대기 시간)
- CPU burst 기간 중 프로세스가 준비 큐에서 CPU를 얻기 위해 기다린 시간의 합을 뜻한다.
- 시분할 시스템의 경우, 한 번의 CPU 버스트 중에도 준비 큐에서 기다린 시간이 여러 번 발생할 수 있다.
- 이때 대기 시간은 CPU 버스트가 끝나기까지 준비 큐에서 기다린 시간의 합을 뜻하게 된다.
- amount of time a process has been waiting in the ready queue
- Response time (응답 시간)
- 프로세스가 준비 큐에 들어온 후 첫 번째 CPU를 획득하기까지 기다린 시간을 뜻한다.
- 응답 시간은 대화형 시스템에 적합한 성능 척도로서,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 척도라고 할 수 있다.
2 - 4 - 3) 생활 속에서의 비유를 통한 스케줄링의 성능 평가 이해
- 중국집에 주방장과 손님이 있다.
- 이용률, 처리률 → 중국집 입장에서의 척도
- 이용률: 전체 시간 중 주방장이 일한 시간의 비율
- 처리률: 주방장이 정해진 시간 동안 요리를 만들어 준 손님의 수
- 소요 시간, 대기 시간, 응답 시간 → 손님 입장에서의 척도
- 소요 시간: 손님이 중국집에 들어와서 주문한 음식을 다 먹고 나가기까지 소요된 총 시간
- 대기 시간: 음식을 먹은 시간을 제외한 순수하게 기다린 시간 (코스요리 처럼 여러 번 나왔더라도 중간 중간 기다린 시간을 다 합쳐야 함)
- 응답 시간: 맨 처음 최초의 음식이 나오기까지 기다린 시간
3. 스케줄링 알고리즘 (Scheduling Algorithms)
3 - 1) 선입 선출 스케줄링 (FCFS, First-Come First-Served)
- 먼저 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nonpreemptive한 방식이다.
- CPU를 오래 쓰는 프로세스가 먼저 와서 CPU를 할당 받으면, 나머지 프로세스들은 전부 기다려야하므로 효율적이지 않음
위 사진처럼 어떤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느냐에 따라 전체 대기 시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 1번 방식
- 대기 시간: P1 = 0, P2 = 24, P3 = 27
- 평균 대기 시간: (0 + 24 + 27) / 3 = 17
- 2번 방식
- 대기 시간: P1 = 6, P2 = 0, P3 = 3
- 평균 대기 시간: (6 + 0 + 3) / 3 = 3
- 긴 프로세스 하나 때문에 짧은 프로세스 여러 개가 기다리는 현상을 Convoy effect 라 부름
3 - 2)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 (SJF, Shortest-Job-First)
- SJF는 CPU 버스트가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제일 먼저 CPU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 평균 대기 시간을 가장 짧게 하는 최적 알고리즘
- 두 가지 방식으로 생각해볼수 있다.
- nonpreemptive (비선점형)
- 일단 CPU를 잡으면 더 짧은 프로세스가 들어와도 CPU 버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CPU를 선점 당하지 않음.
- preemptive (선점형)
- SRTF (Shortest-Remaining-Time-First)
- CPU를 잡았다 하더라도 더 짧은 프로세스가 들어오면 CPU를 뺴앗김.
- nonpreemptive (비선점형)
- 문제점
- Starvation (기아현상): 짧은 프로세스로 인해 긴 프로세스가 영원히 CPU를 잡지 못할 수 있음
- CPU 버스트 시간을 미리 알 수 없음: 과거 CPU 사용 시간을 통해 추정만 가능
▶ 비선점형 방식 예시
▶ 선점형 방식 예시
3 - 3) 우선 순위 스케줄링 (Priority Scheduling)
- 우선 순위가 제일 높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우선 순위 값 (priority number)가 작을 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Linux의 경우 작은수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 두 가지 방식
- nonpreemptive (비선점형)
- 일단 CPU를 잡으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프로세스가 들어와도 CPU 버스트가 완료될 떄까지 CPU를 선점당하지 않음.
- preemptive (선점형)
- CPU를 잡았다 하더라도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프로세스가 들어오면 CPU를 빼앗김
- nonpreemptive (비선점형)
- SJF는 일종의 우선 순위 스케줄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우선 순위가 "예상되는 다음 CPU 버스트 시간"으로 할당된 것 이다.
- 문제점
- Starvation (기아): 우선 순위가 낮은 프로세스는 영원히 CPU를 잡지 못할 수 있음
- 해결 방안
- Aging (노화): 아무리 우선 순위가 낮은 프로세스라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지나면 우선 순위를 높여주는 기법.
3 - 4)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RR, Round Robin)
- 각 프로세스는 동일한 크기의 할당 시간인 time quantum 을 가짐, 즉 동일한 시간동안 CPU를 사용하게 된다.
- 할당 시간이 지나면 프로세스는 CPU를 빼앗기고 Ready Queue 맨 뒤에 가서 줄을 서게 됨
- 짧은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보장함
- 조금씩 CPU를 줬다 뺏었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CPU를 최초로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음
- n개의 프로세스가 Ready Queue에 있고, 할당 시간이 q time unit인 경우 어떤 프로세스도 (n - 1) * q time unit 이상 기다리지 않음
- CPU를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CPU 버스트에 비례
- 성능
- q가 커질 수록 FCFS에 가까워짐
- q가 너무 작아지면 context switch 오버헤드가 증가함
- 일반적으로 SJF보다 평균 turnaround time (소요 시간)이 길지만, 응답 시간은 짧음
- 즉, 맨처음 CPU를 맛보게 되는 응답 시간이 짧아진다.
- 시간이 오래 걸리는 job과 짧게 걸리는 job이 섞여 있을 때는 효율적이지만, 모든 시간이 동일한 job만 있을 때는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시간이 100초씩 걸리는 작업이 4개가 있다면, 4가지 작업 모두 400초가 있어야 비슷한 시간대에서 완료된다.
(생각해보면 당연)
위와 같이 라운드 로빈은 일정 할당 시간(20)을 공평하게 할당 받아서 CPU 사용이 가능하다.
'CS > OS (202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Process Synchronization - 1 (0) | 2022.11.25 |
---|---|
[OS] CPU Scheduling - 2 & Process Synchronization 도입 (0) | 2022.11.24 |
[OS] Process Management (0) | 2022.11.22 |
[OS] Process - 2 (0) | 2022.11.21 |
[OS] Process - 1 (0) | 2022.11.21 |
댓글